CSS: cascading style sheets (스타일 시트)
기존의 HTML은 웹 문서를 다양하게 설계하고 수시로 변경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데,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스타일 시트이고 스타일 시트의 표준안이 CSS이다. HTML을 이용해서 웹 페이지를 제작할 경우 전반적인 틀에서 세세한 글꼴 하나 하나를 일일이 지정해주어야 하지만, 웹 페이지의 스타일(작성형식)을 미리 저장해 두면 웹 페이지의 한 가지 요소만 변경해도 관련되는 전체 페이지의 내용이 한꺼번에 변경되므로, 문서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작업 시간도 단축된다.
따라서 웹 개발자들은 보다 풍부한 디자인으로 웹을 설계할 수 있고, 글자의 크기, 글자체, 줄간격, 배경 색상, 배열위치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으며 유지·보수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.
[네이버 지식백과] CSS [cascading style sheets] (두산백과)
<!-- text --> : <!--와 --> 사이에 입력된 것은 없는 셈 치게끔 하는 코드
<style> text </style> : 웹 브라우저에게 태그 안쪽에 있는 내용을 HTML이 아닌 CSS의 문법으로 해석하게끔 명령함
HTML의 <font> : 실사용되지는 않음
<font color="red"> text </font>
text의 컬러를 빨간색으로 바꾸어주는 코드이나,
색을 바꾸어야 할 부분이 1억 개가 있다면 1억 번 입력해야 하므로
비효율적임.
-> 같은 내용을 CSS로 만들어낸다면?
"웹 페이지의 모든 <a> 태그를 붉은 색으로 하라"
모든 <a> 태그 : a
{ } : 영역
컬러 : color: red;
효율적인 코드 : 중복의 제거
'STUDY >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ox model: border, block, display:none, padding, margin, width (0) | 2022.01.29 |
---|---|
font-size, text-align, id, class, saw, 우선순위 (0) | 2022.01.28 |
style="color:red", text-decoration, 선택자Selector (0) | 2022.01.28 |